보안과 관련된 공부를 하던 중 SSL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주 깊이 있게 공부한 것은 아니지만 정리하며 메모해놓은 내용들을 포스팅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직도 한참 부족하고 개발자는 공부할 것이 참 많다는 것을 느끼네요. ※ 테스트 환경입니다. Tomcat 7.0 jdk 1.7 Eclipse 2019-06 Spring Security 3.1.0 Windows 10 SSL(Secure Socket Layer)과 TLS(Transport Layer Security) SSL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https의 개념을 짚고갈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사진과 같이 자물쇠 모양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https가 적용되었다는 의미로 https는 HTTP over Secure ..
hosts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DNS(Domain Name System)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도메인(ex. tistory.com, naver.com 등)은 IP주소를 쉽게 표기한 것이다.(외우기 쉽도록)흔히 사용하는 네이버, 다음, 티스토리 모두 IP주소를 알아야 접속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다. 하지만 우리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쉽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도움을 주는 것이 DNS이다. 도메인을 입력했을 때 DNS에게 해당 도메인에 매칭되는 IP주소를 요청한다. (ex."TISTORY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려줘")그럼 DNS는 IP주소를 제공하고 제공받은 IP주소로 접속을 한다. 여기까지가 DNS를 통해 특정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이다. hosts 파일은 도..
웹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Tomcat을 연동해 개발했었다.문득 개념을 짚고 넘어갈 필요성을 느껴 정리해본다. WAS와 WEB Server서버는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웹 서버와 WAS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WEB Server웹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html이나 데이터들을 http프로토콜을 이용해 전송한다. 웹 서버는 정적 데이터 처리에 효율적이다.정적 데이터란 정해져 있는, 이미 생성 되어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미디어 파일이나 단순 html 파일과 같은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WAS보다 웹 서버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사용자의 요청 중 웹 서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것들은 WAS에게 넘겨 처리 결과를 받아와서 사용자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TOP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