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hosts 파일

  • -
반응형

hosts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DNS(Domain Name System)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도메인(ex. tistory.com, naver.com 등)은 IP주소를 쉽게 표기한 것이다.(외우기 쉽도록)

흔히 사용하는 네이버, 다음, 티스토리 모두 IP주소를 알아야 접속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다. 하지만 우리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쉽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도움을 주는 것이 DNS이다.


도메인을 입력했을 때 DNS에게 해당 도메인에 매칭되는 IP주소를 요청한다. 

(ex."TISTORY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려줘")

그럼 DNS는 IP주소를 제공하고 제공받은 IP주소로 접속을 한다. 여기까지가 DNS를 통해 특정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이다.


hosts 파일은 도메인을 입력하고 DNS에게 IP주소를 요청하는 과정을 생략시켜준다. 

hosts 파일에는 호스트명과 IP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호스트명에 해당하는 IP주소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DNS를 거치지 않고 해당 서버로 접속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은 hosts 파일에 호스트명으로 티스토리(www.tistory.com)가 입력되어 있고 네이버 IP(210.89.160.88)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hosts 파일에 티스토리는 네이버 IP가 매칭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티스토리 주소로 접속을 해도 네이버로 접속이 될 것이다.  

*참고로 hosts 파일은 C:\Windows\System32\drivers\etc 에 위치한다.


Icons made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is licensed by CC 3.0 BY


이처럼 hosts 파일을 사용하면 DNS와의 질의/응답받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 향상의 장점이 있지만 잘못된 사이트 등록시 사이트 방문이 차단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또 hosts 파일 변조로 인한 해킹에 노출될 위험도 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S]POST 방식에서 파라미터 개수 제한  (0) 2020.05.26
아파치 SSL 설정  (5) 2020.02.05
아파치 톰캣 연동(Apache + Tomcat)  (5) 2020.02.03
[WAS]Tomcat SSL 적용  (0) 2020.02.03
WAS 그리고 Tomcat(+웹 서버와 차이점)  (0) 2018.05.04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