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
개발을 할 때 디버그 모드를 많이 쓰실 거라 생각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디버그 모드가 안되는 경우 참고해주세요. 디버그 모드 실행시 java 파일에서 Source not found가 뜰 때 1) Debug 탭에서 서버 목록에서 우클릭 후 Edit Source Lookup Path 클릭 2) Source Lookup Path 목록에 Default 삭제 3) 삭제 후 추가 버튼을 누르면 Add Source 창이 뜬다. Java Project 선택 4) 프로젝트 체크 후 OK 5) 이제 다시 디버그 모드를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소스가 보일 것이다.
Eclipse Debug Source not found 해결 2021. 1. 22. -
Markdown을 이용하여 포스팅 작성시 포스팅을 꾸밀 수 있는 기능을 몇가지 소개합니다. 뱃지(Badge) 뱃지는 Repository에 버전 또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 등을 간단히 표현하기 좋은 도구이다. 만드는 법은 어렵지 않다. 여기에서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법은 아래 코드 양식에 맞춰 입력해주면 된다. ?style=스타일타입&logo=로고명&logoColor=색상코드(#없이)) 사용 예제를 보자. EX1) 기본뱃지   커스터마이징2 2021. 1. 18. -
본격적인 커스터마이징을 하기 앞서 시안을 만들고 현재 테마의 구조를 파악하기로 했다 사용된 테마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었다. 왼쪽을 기준으로 고정시킨 다음, 오른쪽 페이지에 컨텐츠를 띄우는 방식이다. (포스팅 글 클릭시 왼쪽 프로필 페이지는 그대로 유지) 이 구조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고 싶었다. 먼저 포스팅한 내용은 기존과 동일하게 메인 페이지에 리스트업 시키되(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과정을 포스팅하고 싶었기 때문에) 포스팅 클릭시 왼쪽의 프로필을 상단으로 올리고 포스팅 위치를 가운데로 하고 하단에는 포스팅 리스트를 뿌려준다. 또 나를 소개하는 페이지(about.md)와 프로젝트 리스트 페이지(works.md)를 만들기로 했다. 이 구조는 기존 구조와 같이 왼쪽에 프로필 페이지를 그대로 두고 오른쪽 ..
GitHub Pages에 포트폴리오 호스팅하기 - 3) 커스터마이징 2021. 1. 14. -
이번 글에서는 Jekyll 테마를 커스텀하기 위해 로컬 환경을 준비하는 작업을 정리했습니다. 로컬 환경이 준비되신 분들은 다음 장으로 넘어가주세요 :) 1) 먼저 Fork 받았던 저장소를 옮기는 작업이 필요하다. Clone 방법은 본인의 스타일로 하면 된다. 나는 GitHub Desktop을 이용하였다. Clone a repository from the Internet 클릭 2) Repository 선택 후 원하는 로컬 경로 지정 후 Clone 클릭 3) 해당 fork에 대한 사용 계획을 묻는데 오픈 소스에 대한 기여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두번째 선택지 For my own purposes를 클릭한다. 4) 이제 로컬 경로에 가보면 저장소에 있던 소스들을 내려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이제 로컬에..
GitHub Pages에 포트폴리오 호스팅하기 - 2) 로컬 환경 준비 2021. 1. 13. -
GitHub에서 무료로 웹 서비스 호스팅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포트폴리오 페이지 하나쯤 만들어놔야지..” 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가 이제야 만들어 봤네요. 설정 과정, 처음 보는 문법들, 발생한 에러들과 해결법까지. 만들었던 과정들을 공유하고자 글을 작성했습니다. GitHub Pages GitHub에서는 GitHub Pages라는 기능을 통해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는 웹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GitHub Pages는 정적 페이지만 호스팅이 가능하다. 하지만 무료라는 점과 Github Pages에서 직접 제공하는 Jekyll에 다양한 테마들이 오픈소스로 공유되어 있어 커스텀이 편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자들에게는 개인 포스팅을 위한 블로그 또는 포트폴리오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GitH..
GitHub Pages에 포트폴리오 호스팅하기 - 1) GitHub Pages란 2021. 1. 13. -
간혹 운영서버에 js, css 파일 배포시 소스를 확인해보면 파일이 수정되어 않은 경우가 발생하곤 했습니다. 문제는 브라우저에 캐시가 남아있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이 경우 js, css 파일명 뒤에 쿼리스트링 형태로 문자열을 전달하게 되면 캐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1) JSTL과 JSTL fmt(Formatting tags) 태그를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2) 쿼리스트링 형태로 오늘 날짜를 넣어주기 위해 자바빈 객체를 생성한다.(*Date 클래스의 객체) 생성된 자바빈 객체는 날짜 데이터를 담고 있다. 3) 생성된 날짜 객체를 formatDate 속성을 이용해 yyyymmdd 형태로 만들어준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면 fmt 태그의 다른 속성들과 포맷들을 확인할 수 있다. JSP..
js, css 파일 캐시 방지 2020. 12. 23. -
테이블의 컬럼을 추가하다보면 그 순서가 뒤틀리게 되면서 순서를 원하는대로 맞추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때, Toad를 사용하면 컬럼을 추가하고 데이터의 변경없이 얼마든지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여기 하나의 테이블이 있다. 해당 테이블에 컬럼3을 추가한다면 아마 COL4 컬럼 아래에 추가될 것이다.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컬럼명의 규칙이 틀어졌기 때문에 순서를 바꿔주는 것이 좋아보인다. 이것은 단순 예제이고 실제로는 추가된 필드가 특정 필드 다음으로 오는 것이 좋을 경우에 순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Toad를 사용하면 데이터의 변경없이 컬럼 순서만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상단에 Database - Schema Browser 클릭 2) 테이블 조회 3..
[Toad]컬럼 순서 변경하기 2020. 8. 31. -
카페24에 호스팅 서비스를 받는 중 오류가 발생했다. 로컬에서는 잘 작동하던 메일 보내기 기능이 되지 않던 것. 메일은 Gmail SMTP 서버를 이용하고 있었다. 톰캣의 로그를 확인 후 구글링한 결과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원인은 카페24에서 Gmail SMTP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에서 인증 오류가 발생한 것이었다. 따라서 Gmail 계정에 추가 보안 인증을 해주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1) 구글 로그인을 하고 Google 계정을 클릭한다. 2) 왼쪽 메뉴 중 보안 탭을 클릭하고 사용 안함으로 되어 있는 2단계 인증을 클릭한다. 3) 2단계 인증을 시작한다. 2단계 인증에 앞서 핸드폰 인증을 하게 된다. 핸드폰 번호를 입력 후 수신 받은 인증코드를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핸드폰 인증이 끝나면 위와 ..
카페24 호스팅 중 Gmail SMTP 사용시 설정 2019.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