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폐쇄망 GitLab 설치하기

  • -
반응형

폐쇄망 환경 Java 설치에 이어 오늘은 GitLab 설치 방법을 공유합니다.

서버 환경은 Linux Rocky9 이며, 폐쇄망 환경에서 GitLab 환경 구성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itLab 접속 후 OS에 맞는 패키지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OS 버전 확인

cat /etc/*release*

 

다운받은 패키지를 서버로 업로드 하고 실행합니다.

sudo yum localinstall -y gitlab-ce-17.2.8-ce.0.el9.x86_64.rpm

 

접속하게될 서버의 ip, 포트 번호를 설정합니다. 

30라인쯤 위치한 external_url을 주석해제한 후 ip와 포트 번호를 입력합니다.

vim(vi) /etc/gitlab/gitlab.rb external_url 'http://193.111.111.111:9090'

 

접속 포트를 9090으로 변경했지만 이후 서버를 실행해보면 puma라는 8080포트가 살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uma는 GitLab 패키지에 포함된 was 서버입니다. 해당 포트는 다른 was 포트와 충돌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포트 번호를 변경해줍니다. 1258라인쯤 위치한 주석을 해제하고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puma['listen'] = '127.0.0.1' puma['port'] = 8182

 

Git으로 관리되는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설정합니다.

mkdir /home/gitlab/repo vim(vi) /etc/gitlab/gitlab.rb

 

680라인쯤 위치하고 있습니다.

 

 

sudo gitlab-ctl reconfigure

action run 을 통해 설정이 진행됩니다.

 

gitlab 서버 재시작 및 상태 확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sudo gitlab-ctl restart sudo gitlab-ctl status

 

설정이 마무리되면 3-1에서 설정한 주소로 접속합니다. (http://193.111.111.112:9090)

 

최초 접속 계정은 root입니다. 접속 비밀번호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비밀번호로 접속 후 User settings - Password를 통해 비밀번호를 변경해줍니다.

 

로그인 화면의 Register now를 통해 신규 계정을 추가합니다. 추가된 계정은 관리자 승인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root 계정 접속 후 Add people - Users에서 해당 계정을 승인합니다. 

 

반응형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