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환경
1) 패키지 업데이트
gcc install을 하지 않으면 make 컴파일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2) Redis 설치
Redis를 다운받을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Redis를 다운받고 gcc make로 컴파일합니다.
3) Redis 설정 파일 복사
Redis 서버 초기화 스크립트 경로에 맞춰 미리 설정 파일들을 복사합니다.
Redis 설정 파일 수정
87번 라인에 bind 127.0.0.1 을 찾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bind 0.0.0.0 은 모든 IP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싶다면 1047번 라인에 requirepass 가 있는 부분에 주석 해제 후 설정해주면 됩니다.
4) Redis 서버 실행 스크립트 다운로드
Redis 서버 파일을 이동시키고 권한을 설정합니다. (시스템 부팅시 자동 실행될 수 있도록)
파일 경로 확인 "/usr/local/bin/redis-server"
5) Redis 서비스 등록 및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6) 서버 실행
서버가 잘 실행됐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기본 포트는 6389입니다.
패스워드를 설정했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먼저 입력해야합니다.
만약 make 명령어 실행시 아래와 같이 zmalloc.h:50:10: fatal error: jemalloc/jemalloc.h: No such file or directory 에러가 발생한다면 make 초기화를 통해 필요한 파일을 재설치 해야 합니다.
(redis-stable 경로에서)
참고자료
[AWS] EC2에 Redis 설치
AWS EC2에 Redis 설치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EC2의 경우 Amazon Linux 2 기준으로 진행합니다.Redis의 경우 작성기준일로 6.2.5가 최신이므로 최신버전을 설치합니다.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