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Web Services

[AWS]SSL 인증서 생성과 로드밸런서 적용

  • -
반응형

지난 글에 이어 연결한 도메인에 SSL 인증서를 입히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처음 사용하는 서비스이다보니 꽤 헤매서 힘들었네요... 누군가한테 도움이 됐으면 하는 생각에 포스팅을 남깁니다.

AWS에서 사용한 서비스는 Route 53과 EC2(로드밸런서), Certificate Manager입니다.


1) Certificate Manager 서비스에 접속해 인증서 요청을 선택

 

2) 퍼블릭 인증서 요청 선택 후 다음

 

3) 인증서 요청

도메인 이름에 Route53에서 호스팅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요청을 클릭합니다.

* 이 인증서에 다른 이름 추가를 통해 서브도메인에 대한 인증서 적용도 가능합니다. (ex. *.test.co.kr)

 

4) 인증서 발급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을 클릭하면 Route 53을 통해 자동으로 CNAME이 등록되며 DNS 검증이 진행됩니다.

 

그리고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CNAME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기다려보면 인증서가 발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대상 그룹 생성

이제 발급 받은 인증서를 등록하기 위해 발급 대상 그룹을 등록합니다.

EC2 - 로드밸런싱 - 대상 그룹에 접속한다.

 

2) 그룹명 입력

 

3) 기본 옵션 선택

 

4) 인스턴스 선택

등록하고자 하는 인스턴스 선택 후 Include as pdending below 클릭합니다. Create target group 클릭 후 종료

*이 때 등록하는 인스턴스의 Zone 영역을 잘 기억합니다.

 

5) 로드밸런서 설정

EC2 서비스의 로드밸런싱 - 로드밸런서 메뉴로 접속합니다.

로드밸랜서 생성 - Application Load Balancer 타입으로 진행합니다.

 

6) 로드밸런서의 이름을 입력

 

7) 네트워크 매핑 선택

최소 2개이상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4)에서 추가한 Zone을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 Target is in an Availability Zone that is not enabled for the load balancer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8) 보안그룹 등록

80포트와 443포트에 대한 허용하도록 하는 규칙을 등록합니다.

 

9) 리스너/라우팅 설정

80과 443포트에 4)에서 만든 대상 그룹을 등록합니다.

 

10) 인증서 선택

Default SSL certificate - 1. 인증서 생성에서 만든 인증서 선택

 

1) 도메인 레코드 편집

Route53 서비스로 접속해 등록한 도메인에 대한 레코드 편집을 합니다.

 

2) 로드밸런서 적용

별칭을 ON으로 하고 트래픽 라우팅 대상을 Application/Classic Load Balancer에 대한 별칭으로 바꿔줍니다.

리전은 7)에서 설정한 나라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생성된 로드밸런서를 선택 후 저장합니다.


+ 시간이 조금 지난 탓에 기억이 맞는지 확실치가 않습니다. 진행 순서가 조금 틀릴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반응형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